월턴 워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턴 워커는 1889년 텍사스주 벨턴에서 태어난 미국의 군인이다. 1912년 웨스트포인트를 졸업하고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혁혁한 공을 세웠다.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조지 S. 패튼 휘하에서 제20군단을 지휘하며 노르망디 상륙 작전 등에 참여하여 뛰어난 지휘 능력을 발휘했다.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미 제8군 사령관으로서 낙동강 방어선을 사수하고 반격 작전을 지휘했으나, 1950년 12월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그는 사후 대장으로 추서되었으며, 한국 전쟁에서의 공헌을 기려 다양한 기념 시설이 건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을지무공훈장 외국인 수훈자 - 레너드 라루
레너드 라루는 한국 전쟁 중 흥남 철수 작전에서 메러디스 빅토리호를 지휘하여 만 사천 명이 넘는 피난민을 대피시킨 미국의 상선 선장이자, 후에 봉헌적인 삶을 산 베네딕토회 수도사로 대한민국 정부 훈장을 받았으며 가톨릭 교회에서 시복이 추진 중이다. - 을지무공훈장 외국인 수훈자 - 올리버 P. 스미스
올리버 P. 스미스는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특히 장진호 전투에서 제1해병사단장으로 활약하며 수훈십자훈장, 은성훈장, 대한민국 보국훈장 통일장과 대통령 부대표창을 받은 미국의 해병대 장성이다. - 미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사망자 - 에밀 카폰
에밀 카폰은 제2차 세계 대전과 6.25 전쟁에 참전하여 헌신적인 봉사를 펼친 미국의 로마 가톨릭 사제이자 군종 신부로, 포로 생활 중에도 동료들을 격려하고 도왔으며 사후 명예 훈장과 태극무공훈장을 수훈받고 가톨릭교회에서 시복 및 시성 절차가 진행 중이다. - 미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사망자 - 로버트 R. 마틴
로버트 R. 마틴은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군인으로, 한국 전쟁 중 천안 전투에서 북한군의 공격을 지연시키다 전사하여 수훈 십자장을 수여받았으며, 천안시에 그의 이름을 딴 공원이 조성되었다. - 미국 육군 대장 - 가이 S. 멜로이 주니어
가이 S. 멜로이 주니어는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수훈십자장을 받았으며, 주한미군 사령관, 유엔군 사령관, 제8군 사령관을 역임하고 육군 대장으로 은퇴 후 테렐 힐스 시장을 지낸 미국의 군인이다. - 미국 육군 대장 - 콜린 파월
콜린 파월은 미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육군 대장까지 진급하여 국가안보보좌관, 합참의장, 국무장관을 역임했으며, 특히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합참의장 및 국무장관으로 알려져 있다.
월턴 워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명 | 조니 워커 |
출생일 | 1889년 12월 3일 |
출생지 | 벨턴, 텍사스주, 미국 |
사망일 | 1950년 12월 23일 |
사망지 | 도봉,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
묘지 | 알링턴 국립묘지, 버지니아주, 미국 |
소속 | 미국 |
군사 부문 | 미국 육군 |
복무 기간 | 1912년–1950년 |
최종 계급 | 대장 (사후 추서) |
병과 | 보병 병과 |
군번 | 0-3405 |
지휘 | 제8군 제5군 제8 군수지원사령부 제20군단 제3기갑사단 |
가족 | 샘 S. 워커 장군 (아들) |
참전 | |
전투/전쟁 | 바나나 전쟁 베라크루스 점령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오버로드 작전 노르망디 전투 노르망디 상륙 작전 지크프리트 선 공방전 메츠 전투 벌지 전투 중부 유럽 전역 일본 점령 한국 전쟁 부산 교두보 전투 |
서훈 | |
훈장 | 수훈십자장 (2회) 육군 공로 훈장 (2회) 은성훈장 (3회) 공로훈장 수훈 비행 십자 훈장 (2회) 동성훈장 항공훈장 (12회) 육군 표창 훈장 을지무공훈장 (2회) |
2. 생애
월턴 해리스 워커는 1889년 12월 3일 텍사스주 벨턴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대학 졸업생이었고, 아버지들은 모두 남부 연합군 장교였다.[1] 상인이었던 아버지는 그에게 말 타는 법, 사냥, 사격하는 법을 가르쳤다. 그는 어릴 때부터 웨스트포인트에 있는 미국 육군사관학교(USMA)에 가고 싶어 했고, 장군이 되기를 희망했다. 워커는 미국 육군사관학교 교육을 준비하기 위해 버지니아 군사 학교에 다녔으며, 1908년 3월 3일에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하여 1912년 6월 12일에 보병 소위로 임관했다.[1]
워커는 소위 시절, 1914년 프레데릭 펀스턴 준장이 지휘하는 베라크루스 점령에 참여했고, 1916년 미-멕시코 국경을 순찰하면서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와 친분을 쌓았다.[2] 제1차 세계 대전 동안에는 프랑스에 파병되어 용감하게 싸운 공로로 은성 훈장 2개를 받았다.[4]
전쟁 후, 워커는 조지아주 포트 베닝과 오클라호마주 포트 실 등에서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고, 웨스트포인트에서 교관으로도 근무했다. 1930년부터 1933년까지는 중국 친황다오와 톈진에서 제15보병연대(미국) 제2대대 지휘관을 맡았다. 1935년에는 중령으로 진급하여 미국 육군 군사대학(United States Army War College)을 졸업한 후, 조지 C. 마셜이 지휘하는 제3보병사단(미국) 제5보병여단에서 근무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워커는 조지 C. 마셜 참모총장의 요청으로 조지 S. 패튼의 부하 지휘관이 되었고, 준장으로 승진했다. 1942년에는 소장으로 진급하여 제3기갑사단을 지휘했다. 1944년 초 영국으로 건너가 패튼의 제3군 소속 제20군단장으로 노르망디 전투에 참전했다.[7] 워커의 제20군단은 빠른 진격 속도로 "유령 군단(Ghost Corps)"이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메츠, 벌지 전투, 독일 침공 등 격렬한 전투에 참여했다. 1945년 봄, 제20군단은 부헨발트 강제 수용소를 해방하고 오스트리아 린츠에 도달했으며, 워커는 중장으로 승진했다.[8][5][1]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기습 남침으로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더글러스 맥아더 미 극동군사령관은 워커 중장에게 주일 미 제8군의 제24보병사단을 한국으로 이동시키라는 명령을 내렸다.[10][11][12] 워커 중장은 7월 13일 한반도에 파견되어[4] 낙동강 방어선 사수 임무를 맡았다. 그는 "낙동강 방어선에서 죽는 한이 있어도 무조건 방어하라"고 부하들에게 명령했다.[20]
워커는 군사 보안국(현재는 국가안보국)의 신호 정보를 활용하여 북한군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포병과 공군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부산 교두보를 방어했다. 인천 상륙 작전 이후 북진하여 압록강 근처까지 진격했으나, 중국군의 개입으로 후퇴하게 되었다.
1950년 12월 23일, 샘 S. 워커 대위의 은성 무공 훈장 수상을 축하하기 위해 차량으로 이동하던 중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당시 경기도 양주군 노해면)에서 교통사고로 사망했다.[22] 대한민국 육군 제6사단 소속 차량과 충돌하여 차량이 전복되는 사고였다. 그의 사망 장소는 의정부시 근처였다.[15] 시신은 미국 본토로 운구되어 알링턴 국립묘지에 안장되었고, 대장 계급이 추서되었다.[23]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월턴 워커는 1889년 12월 3일 텍사스주 벨턴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샘 워커와 리디아 워커로, 두 사람 모두 대학 졸업생이었고, 그들의 아버지들은 모두 남부 연합군 장교였다.[1] 상인이었던 그의 아버지는 그에게 말 타는 법과 사냥, 사격하는 법을 가르쳤다. 그는 1886년부터 1911년까지 벨턴에서 운영되었던 학교인 웨데마이어 아카데미를 졸업했다. 그는 어릴 때부터 웨스트포인트에 있는 미국 육군사관학교(USMA)에 가고 싶어했고, 언젠가는 장군이 되기를 희망했다. 워커는 미국 육군사관학교 교육을 준비하기 위해 버지니아 군사 학교에 다녔다. 그는 1907년 6월 15일에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했지만 1907년 10월 7일에 자퇴했다. 그는 1908년 3월 3일에 다시 입학하여 1912년 6월 12일에 보병 소위로 임관했다.[1]
소위로서 워커는 1912년 6월부터 1917년 5월까지 일리노이주 포트 셔리단, 텍사스주 포트 크로켓, 멕시코 베라크루스, 텍사스주 갈베스턴, 텍사스주 포트 샘 휴스턴에서 복무했다. 그는 프레데릭 펀스턴 준장이 지휘하는 1914년 베라크루스 점령에 참여했다. 1916년 미-멕시코 국경을 순찰하면서 그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와 친밀한 관계를 맺었다.[2] 그는 미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몇 주 후인 1917년 5월 15일에 대위로 진급했다.[1] 그는 1917년 5월부터 12월까지 텍사스주 캠프 펀스턴에서, 1917년 12월부터 1918년 4월까지 제13 기관총 대대와 함께 포트 샘 휴스턴에서 복무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워커는 1918년 4월 제13 기관총 중대, 제5 기관총 대대, 제5 사단과 함께 프랑스로 파병되었고, 1918년 6월 17일에 소령으로 진급한 후,[1] 1919년 7월까지 중대장 및 대대장으로 복무했는데, 그 무렵 전쟁은 종결되었다.[3] 그는 용감한 전투 행위로 실버 스타 2개를 수여받았다.[4]
전쟁 후, 워커는 조지아주 포트 베닝(Camp Benning)과 오클라호마주 포트 실(Fort Sill)에서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으며, 1923년 8월부터 1925년 6월까지 웨스트포인트에서 중대장 및 교관으로 복무했다. 그는 1925년 9월부터 1926년 6월까지 캔자스주 포트 리븐워스(Fort Leavenworth)의 지휘참모대학(Command and General Staff School)을 다녔다. 그 후 1926년 6월부터 1930년 7월까지 버지니아주 포트 먼로(Fort Monroe)에서 복무했다. 다음으로 그는 1930년 9월부터 1933년 3월까지 중국 친황다오(Qinhuangdao)의 캠프 홀콤(Camp Holcomb) 및 톈진의 아메리칸 막사에서 제15보병연대(미국)(15th Infantry) 제2대대 지휘관을 맡았다.
1935년 8월 1일에 중령으로 진급했으며, 1935년 8월부터 1936년 6월까지 미국 육군 군사대학(United States Army War College)을 다닌 후, 1936년 8월부터 1937년 6월까지 제5보병여단, 제3보병사단(미국)(3rd Division)에서 사후 행정 장교, 여단 행정 장교로 복무했다. 이 여단은 미래의 미국 육군 참모총장(Chief of Staff of the United States Army)인 조지 C. 마셜(George C. Marshall)이 지휘했다.
2. 2.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을 때, 월턴 워커는 참모부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그러나 조지 C. 마셜 참모총장이 조지 S. 패튼에게 기갑 부대 편성 임무를 맡기자, 워커는 패튼의 부하 지휘관으로 임명해 줄 것을 요청하여 준장으로 승진했다. 1942년에는 소장으로 진급하여 제3기갑사단을 지휘했고, 1944년 초 영국으로 건너가 7월부터 패튼의 제3군 소속 제20군단장으로 노르망디에서 전투를 벌였다.[7]
워커의 제20군단은 1944년 8월과 9월 초, 패튼의 프랑스 횡단 작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빠른 진격 속도로 인해 "유령 군단(Ghost Corps)"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그는 패튼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전선에서 직접 지휘하는 스타일은 패튼을 본받은 것이었다.

1944년 7월 7일, 워커는 비르 강을 건너는 공격에서 보여준 용감한 행동으로 은성 훈장을 받았다. 그는 적의 포화 속에서도 최전선을 방문하여 병사들을 격려하며 교두보 구축에 기여했다.[4] 1944년 8월 23일에는 멜룬 근처 센 강 도하 작전을 성공적으로 지휘한 공로로 수훈 십자 훈장(DSC)을 받았다. 그는 적의 사격에도 불구하고 최전선에서 부대를 지휘하며 병사들에게 영감을 주었다.[4]

워커의 부대는 메츠, 벌지 전투, 독일 침공 등 격렬한 전투에 참여했다. 1945년 봄, 제20군단은 부헨발트 강제 수용소를 해방하고 오스트리아 린츠에 도달했다. 워커는 중장으로 승진했으며,[8][5][1] 1945년 5월 7일에는 독일 남부 육군 집단 사령관 로타어 렌둘릭 대장으로부터 무조건 항복을 받아냈다.[4]
2. 3. 한국 전쟁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기습 남침으로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더글러스 맥아더 미 극동군사령관은 워커 중장에게 주일 미 제8군의 제24보병사단을 한국으로 이동시키라는 명령을 내렸다.(1950년 6월 30일)[10][11][12] 워커 중장은 7월 13일 한반도로 파견되었다.[4]
대한민국 부임 당시 미숙했던 장병들만으로 극도로 불리했던 낙동강 방어선을 사수하면서 그는 낙동강 방어선에서 죽는 한이 있어도 무조건 방어하라고 부하들에게 명령했다.[20] 미국에서 반대 여론이 일자 더글라스 맥아더는 "군대에는 민주주의가 없다."라는 말로 워커 중장을 옹호했다.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의 명령에 따라 미 제8군은 침략군을 격퇴하여 38도선인 양국 국경 너머로 몰아내라는 명령을 받았다.[12] 워커는 훈련이 제대로 안 된 경무장 부대 4개 사단만으로 7월에 한반도 동남쪽에 병력을 상륙시키기 시작했다. 그의 선두 부대인 제24보병사단의 일부 부대(스미스 특수부대 포함)가 오산과 대전 사이에서 며칠간 격렬한 전투 끝에 사실상 전멸하자 워커는 자신이 맡은 임무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닫고 방어 태세로 전환했다. 북한군의 진격에 밀려 동남쪽으로 꾸준히 밀려난 워커의 부대는 막대한 피해를 입었고, 제1기병사단과 제25보병사단을 전투에 투입한 후에도 한동안 방어선을 형성할 수 없었다.
워커는 군사 보안국(현재는 국가안보국)이 생산한 신호 정보를 활용하여 공격 전에 북한군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받았다.[13] 이를 통해 주요 부대를 최전선에 배치하는 한편, 다른 미 육군 및 해병대 병력을 기동 예비대로 유지했다. 북한군의 의도를 더 잘 해석할 수 있었기 때문에 그와 참모진은 병력을 전선에 더 잘 배치할 수 있었다. 또한 포병과 공군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
미군 부대는 한반도 남동쪽에서 이 방어선을 점차 굳혔고, 이를 "부산 교두보"라고 불렀다. 워커는 증원을 받았는데, 여기에는 육군의 제27보병연대와 함께 반격과 적의 돌파구를 격파하는 데 특화된 신뢰할 수 있는 부대인 "화력 여단"으로 사용한 임시 해병여단이 포함되었다. 증원이 더 도착하면서 전투 우위는 유엔군으로 기울었다. 북한군은 엄청난 피해를 입었고 보급선은 끊임없는 공습을 받았다. 침공을 주도했던 거의 모든 러시아제 T-34 탱크가 파괴되었다. 워커는 맥아더의 인천 상륙 작전과 연계하여 대규모 돌파를 계획하면서 국지적인 반격을 명령했다.
인천 상륙 작전으로 북한군은 포위된 듯했지만, 워커의 빠른 북서진은 인천과 서울을 향해 기동보다 속도를 중시했고, 북한군의 방어선을 돌파한 후 북한군을 포위하여 격멸하려는 시도는 하지 않았다. 수천 명의 포로가 잡혔지만 많은 북한군 부대는 전투에서 성공적으로 이탈하여 남한 내륙으로 흩어져 2년 동안 게릴라전을 벌였다. 다른 사람들은 북한으로 완전히 도망갔다.
전쟁이 승리한 듯 보이자 워커의 제8군은 빠르게 북쪽으로 진격했고, 오른쪽에 있는 독립 X군단과 함께 38도선을 넘어 북한을 점령했다. 전투는 북한군 잔여 세력과의 산발적이고 날카로운 교전으로 잦아들었다. 1950년 10월 말까지 제8군은 압록강에 근접했는데, 이곳은 북한과 중국의 국경이었다. 맥아더 사령부는 워커에게 중국이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했기 때문에 워커의 부대는 주의 깊은 경계를 유지하지 않았다. 제8군과 X군단이 중국 국경에 접근하면서 워커, X군단 사령관 에드워드 알몬드 장군, 도쿄에 있는 맥아더 사령부 간의 조정 부족으로 인해 틈이 벌어졌다. 결국 날씨가 극도로 추워졌고, 대부분의 미군 부대는 이러한 혹독한 추위에 대한 훈련과 장비가 부족했다.
맥아더의 예상과 달리, 중국은 11월 25일에 대규모로 개입하여 일련의 매복 공격, 산발적인 야간 공격, 그리고 마지막으로 중국군 3개 군이 미군 방어선을 침투하는 총공세를 시작했다.[14] 이는 미국이 기본적인 안전 조치를 취하지 못했고, 미군과 한국군 부대 사이에, 그리고 제8군과 X군단 사이에 큰 틈이 있었기 때문이다. 1950년 10월 말부터 12월 초까지 중국군은 수천 명의 미국 및 대한민국 군인을 살해하거나 포로로 잡았고, 제2보병사단을 초토화시키고 워커를 필사적인 후퇴로 몰아넣었다.
12월 초, 워커는 그의 뛰어난 기동성을 이용하여 중국군과의 접촉을 성공적으로 끊고 북한 수도인 평양 인근으로 남쪽으로 후퇴했다. 맥아더 사령부의 지시 없이 워커는 제8군이 평양을 방어하기에는 너무 심하게 손상되었다고 판단하고 제8군의 대부분을 구출하면서 38도선 아래로의 후퇴를 재개하라고 명령했다.[14]
2. 4. 사망
1950년 12월 23일, 샘 S. 워커 대위의 은성 무공 훈장 수상을 축하하기 위해 차량으로 이동하던 중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당시 경기도 양주군 노해면)에서 교통사고로 사망했다.[22] 대한민국 육군 제6사단 소속 차량과 추돌하여 차량이 전복되는 사고였다. 그의 사망 장소는 의정부시 근처였다.[15] 그의 북쪽 방향 지휘 지프가 차선을 벗어난 대한민국 육군 사단의 남쪽 방향 무기 수송차와 충돌했다.[16] 시신은 아들에 의해 수습되어 미국 본토로 운구되었으며, 1951년 1월 2일 알링턴 국립묘지에 안장되었고, 대장 계급이 추서되었다.[23]3. 가족
그의 외아들 샘 S. 워커 대위는 한국 전쟁 당시 일선 소총중대장으로 전투에 참여했다. 이후, 샘 워커 대위는 미국의 군사 역사상 최연소 대장으로 진급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미 육군 역사상 유일하게 아버지와 아들이 나란히 대장에 진급되는 영광을 누리게 된다.[15][16][14][17]
4. 평가 및 유산
월턴 워커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뛰어난 활약을 펼친 미군 장성으로, 특히 프랑스와 독일 전선에서 용맹을 떨쳤다. 1944년 8월과 9월 초, 조지 S. 패튼 장군의 프랑스 돌진 작전에서 워커의 제20 군단은 빠른 진격 속도로 "유령 군단"이라는 별칭을 얻었다.[4] 그는 1944년 7월 7일과 8월 23일에 각각 은성 훈장과 수훈 십자 훈장을 받았다.[4]
은성 훈장 표창에는 1944년 7월 7일, 제20 군단이 아레일 인근 비르 강을 건너는 공격을 감행할 때, 워커 장군이 최전선에서 박격포와 포병의 집중 사격에 노출된 채 장병들을 격려하여 교두보를 구축하는 데 기여한 공로가 기록되어 있다.[4]
수훈 십자 훈장 표창에는 1944년 8월 23일, 워커 장군이 프랑스 멜룬 근처 센 강을 가로지르는 교두보 확보 작전을 직접 지휘하며, 적의 맹렬한 사격에도 불구하고 최전선에서 병사들을 독려하여 강을 건너도록 한 영웅적인 행위가 명시되어 있다.[4]
1945년 봄, 제20 군단은 부헨발트 강제 수용소를 해방하고 오스트리아 린츠까지 진격했다. 워커는 이 시기에 중장으로 진급했으며,[8][5][1] 1945년 5월 7일에는 독일 남부 육군 집단 사령관 로타어 렌둘릭 대장으로부터 무조건 항복을 받아냈다.[4]
4. 1. 대한민국에서의 평가
한국 전쟁 초기 낙동강 방어선을 성공적으로 지휘하여 대한민국의 존립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인물로 평가받는다.[20] 부산 교두보 전투에서 예비대를 교묘하게 추출, 기동, 투입함으로써 부산 교두보를 지켜내고 인천 상륙 작전을 거쳐 유엔군이 반격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4. 2. 기타
미 육군은 그의 이름을 따서 차기 경전차 M41 워커 불독을 개발했다. M41 전차는 워커 장군이 사망하기 전부터 "리틀 불독"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고 있었으나, 미 육군은 "리틀"이라는 단어를 빼고 "불독"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1]대한민국 대구광역시의 캠프 워커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1963년, 박정희 대통령은 서울 남쪽에 있는 언덕에 그의 이름을 붙여 워커 장군을 기렸는데, 오늘날 그랜드 워커힐 호텔의 부지이다. 광진구에는 워커힐 아파트가 있다.[1] 2009년 12월, 도봉구 최선길 구청장은 그의 사망 장소를 기념하기 위해 월턴 해리스 워커 기념비를 공개했다. 도봉역 근처에 있는 이 기념비는 워커 장군과 한국 전쟁에서 대한민국을 방어한 모든 사람들에게 경의를 표한다.[1]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에서는 텍사스 주 고속도로 루프 12의 서쪽 구간이, 벨튼에서는 미국 재향군인회 지부 55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베르히테스가덴의 월턴 워커 장군 호텔(현재는 철거됨) 역시 그의 명예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켄터키주 포트 녹스 육군 기지에 위치한 워커 중학교는 1962년에 그의 이름을 따서 개교했다.[19]
5. 상훈
워커는 많은 훈장과 표창, 배지를 받았다. 다음은 그 목록이다.
{| class="wikitable"
|-
! 훈장 및 표창
|-
|
수훈 십자 훈장(Distinguished Service Cross) (청동 참나무 잎 1개 부착) |
육군 공로 훈장(Distinguished Service Medal) (청동 참나무 잎 1개 부착) |
은성 훈장(Silver Star) (청동 참나무 잎 2개 부착) |
공로 훈장(Legion of Merit) |
수훈 비행 십자 훈장(Distinguished Flying Cross) (청동 참나무 잎 1개 부착) |
동성 훈장(Bronze Star Medal) |
항공 훈장(Air Medal) (은색 참나무 잎 2개와 청동 참나무 잎 1개 부착) |
육군 표창장(Army Commendation Medal) |
제1차 세계 대전 승전 훈장(World War I Victory Medal) (3개의 " 청동 별 부착) |
독일 점령군 훈장(Army of Occupation of Germany Medal) |
미국 방위군 훈장(American Defense Service Medal) |
미국 전역 훈장(American Campaign Medal) |
유럽-아프리카-중동 전역 훈장(European-African-Middle Eastern Campaign Medal) (1개의 " 은성 별과 1개의 " 청동 별 부착) |
제2차 세계 대전 승전 훈장(World War II Victory Medal) |
점령군 훈장(Army of Occupation Medal) |
국방 훈장(National Defense Service Medal) |
한국 전쟁 참전 훈장(Korean Service Medal) (3개의 " 청동 별 부착) |
프랑스 무공 십자 훈장(Croix de Guerre 1939–1945) (청동 별과 야자 잎 부착) |
조국전쟁 훈장(Order of the Patriotic War) 1급 (소련) |
을지무공훈장 2회 (1950-12-19, 1953-01-03)[24] |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표창(Presidential Unit Citation) |
유엔 한국 봉사 훈장(United Nations Service Medal for Korea) |
대한민국 참전 훈장(Republic of Korea War Service Medal) |
|}
{| class="wikitable"
|-
! 배지
|-
|
![]() |
육군 참모 식별 배지(Army Staff Identification Badge) |
|}
참조
[1]
웹사이트
United States Army officer histories
https://www.unithist[...]
Unit Histories
2022-04-24
[2]
서적
Eisenhower, Soldier, General of the Army, President-Elect - 1890-1952
Touchstone
1983
[3]
웹사이트
Welcome
http://www.1914-1918[...]
[4]
웹사이트
Military Times Hall of Valor
http://valor.militar[...]
[5]
웹사이트
Biography of General Walton Harris Walker (1889−1950), USA
https://generals.dk/[...]
[6]
웹사이트
George C. Marshall (1880–1959) – Encyclopedia Virginia
http://www.encyclope[...]
[7]
웹사이트
36th Infantry
https://web.archive.[...]
[8]
웹사이트
Memorial
http://apps.westpoin[...]
[9]
웹사이트
This Day in History
http://www.history.c[...]
1950
[10]
웹사이트
US Enters the Korean Conflict
https://www.archives[...]
[11]
웹사이트
Korean War
http://www.history.c[...]
[12]
웹사이트
How the Korean War Started
https://time.com/391[...]
2015-06-25
[13]
웹사이트
SIGINT & the PUSAN Perimeter
https://www.hsdl.org[...]
[14]
웹사이트
Courage under fire: The day Lt. Gen. Walton Walker defied General of the Army Douglas MacArthur
http://www.defenseme[...]
2014-10-02
[15]
문서
Dobong belonged to Yangju County in 1950
[16]
서적
The Coldest Winter
[17]
웹사이트
Burial Detail: Walker, Walton H
https://ancexplorer.[...]
[18]
서적
Uncommon Allies: U.S. Army Recipients of Soviet Military Decorations in World War II
Teufelsberg Press
[19]
웹사이트
Walker Intermediate School- About Our Namesake
https://web.archive.[...]
Am.dodea.edu
1959-12-23
[20]
간행물
陸戦史研究普及会
陸戦史研究普及会
1972
[21]
서적
2009
[22]
문서
미군 지휘관용 차량 변천사
[23]
뉴스
[6·25 전쟁 60년] 적유령 산맥의 중공군 (17) 떨어진 6·25의 별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0-01-22
[24]
웹사이트
행정안전부 상훈 데이터베이스
https://www.sanghu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